-
랍코리아, VDE 인증범위 확장
산업용 케이블 전문회사 랍코리아(www.lappkorea.com)는 최근 글로벌 시험인증 기관 독일전기전자정보기술자협회(VDE)의 시험소 인정프로그램 인 TDAP(Test Data Acceptance program)의 인증범위를 기존 VDE 0182 telecommunication cable에서 power and control cable까지 확장했다 고 밝혔다. 이로써 산업 전반에 사용되는 거의 모든 케이블에 대한 자체 검 증이 가능하게 됐다는 것이 랍코리아 측의 설명이다. 실험 환경을 VDE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수준으로 향상하고, 실험 장비 또 한 독일산 장비로 구성하여 실험 과정과 결과의 신뢰성을 한층 높였다. 뿐만 아니라, VDE TDAP 업그레이드 과정에서 독일 본사와 친밀하게 커뮤니케이 션하며 실험자의 역량 강화에도 집중했다. 또한 실험자에 대한 평가와 기술 수준을 높이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독일에서 수행하는 동일한 실험 절차/지침서를 적용하였다. 그 결과 한국에서 실행한 실험과 독일에서 실행한 실험이 동일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랍코리아 이광순 지사장은 “강화된 실험 조건 속에서 VDE 인증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랍코리아의 우수한 품질에 대한 신뢰성을 시장에 견고히 다 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됐다”며 “모든 산업에 최상의 제품을 제공하는 최적 의 파트너가 되기 위해 앞으로도 인증 범위를 확장해 나갈 것이다”라고 밝 혔다.
2023-01-07 -
유니버설 로봇, 고하중 협동로봇 ‘UR20’ 국내 론칭
협동로봇 전문기업 유니버설로봇(www.universal-robots.com/ko)이 최근 고하중 협동로봇 신제품 ‘UR20’의 국내 론칭을 밝히며, 협동로봇 기업으로 서의 비전과 2023년도 협동 로봇 산업의 전망에 대한 향후 계획을 밝혔다. 유니버설로봇 한국지사 이내형 대표는 “협동 로봇은 인간과 협력하는 동 반자이다”라고 강조하며 “2023년도 시장 전략은 △협동 로봇에 대한 한국 시장 내 인지도 향상 △협동 로봇 전문가 육성 △고객을 위한 협동로봇회사 등 세 가지이다”라고 밝혔다. 특히 지난 2022년 한국 로봇 시장이 수요에 비해 인력이 부족하다는 점 을 언급하며, 상승하는 로봇 수요에 걸맞은 로봇 전문 인력을 양성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유니버설 로봇은 현재 온·오프라인 교육을 통해 보다 많은 사람들이 체계적인 로봇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2023년에는 유수의 초·중고등학교 및 폴리텍대학교와도 협력하여 미래의 로봇 꿈나무 육성 및 로봇 전문가 양성에 힘을 보탤 예정이다. 신제품 ‘UR20’ 은 20㎏ 가반하중의 협동 로봇으로, 기존 유니버설 로봇 제품대비 새로운 디자인으로 제작됐다. 작업반경은 1750㎜로, 유로 팔레트 (Euro Pallet, 유럽 표준 팔레트)의 전체 높이까지 작동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작은 면적에도 설치가 가능해 추가 설비 없이 포장 및 팔레타이징에서의 더 편리해진 작업을 보장한다. 이내형 대표는 “UR20을 통해 로봇 산업을 재정의함으로써 고객의 삶을 더 나은 방향으로 바꾸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2023-01-07 -
아미텍, Navitar과 RTDS 인수
AMETEK(www.ametek.com, 이하 아미텍)은 최근 고정밀 애플리케 이션을 위한 첨단 광학 부품 및 솔루션 공급업체인 ‘Navitar’(www. navitar.com)와 실시간 전력 시뮬레이션 시스템 공급업체인 ‘RTDS Technologies’(www.rtds.com)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업계에 따르면 두 회 사의 인수 가격은 4억3천만 달러로 알려졌다. Navitar는 맞춤형 광학 이미징 시스템, 카메라, 구성 요소 및 소프트웨어 의 설계, 개발 및 제조 분야의 시장 리더로 잘 알려져 있다. Navitar의 광학 솔루션은 의료 및 생명과학, 머신비전 및 로봇, 산업 자동화 등에 중요한 애 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아미텍은 Navitar를 인수하여 포토닉스 포트폴리 오에 추가했다. RTDS는 전력망 및 재생 에너지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 및 테스트에서 유 틸리티, 연구 및 교육기관에서 사용하는 실시간 전력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선두 제공업체다. RTDS의 솔루션은 폐쇄 루프 시스템에서 전력망, 전력 기 기 및 네트워크의 성능을 프로토타입, 검증 및 테스트하여 제품 개발 주기를 가속화하고 테스트 비용을 줄이는 데 도움울 준다. 인수한 두 회사는 전자기기그룹(EIG)의 일부로 아미텍에 합류하게 된다. 이로써 분석, 모니터링, 테스트, 교정 및 디스플레이 기기를 개발한다. 아미텍의 회장 겸 CEO인 David A. Zapico는 “Navitar 및 RTDS 팀은 우 리의 기존 역량을 훌륭하게 보완하고 매우 매력적인 기존 성장 영역에서 우 리의 입지를 전략적으로 확장한다”며 “아미텍은 혁신적이고 고급 기술 솔 루션으로 시장을 선도하는 사업을 인수함으로써 우리의 포트폴리오를 계속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거래는 아미텍이 지난 2021년 12월 전자기기그룹에 합류한 환 경, 건강 및 안전, 대기질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가스 및 미립자 센서 공 급업체인 Alphasense를 인수한 데 이어 이루어진 것이다. 또 초정밀 가공 을 위한 레이저 보조 시스템 제조업체인 Micro-LAM은 아미텍의 초정밀 기 술 그룹의 3개 사업부에 합류하여 영국에 PACE를 설립한 바 있다.
2023-01-07 -
힐셔, 지멘스와 협업 SIMATIC IPC에 힐셔 cifX PC카드 장착
힐셔(Hilscher, www.hilscher.com)가 지멘스(Siemens, new.siemens. com)와의 협업을 밝혔다. 지멘스의 SIMATIC IPC에 힐셔의 cifX PC 카드를 장착함으로써 고객에게 모든 산업용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한 기능이 탑재된 SIMATIC IPC를 제공하게 되었다. 현재 산업용 자동화 분야는 매우 이질적인 통신 환경으로 인하여 서로 다 른 네트워크 표준으로 연결되어 있는 기계와 생산 시스템은 중대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지멘스와 힐셔의 협업은 SIMATIC IPC 사용자에게 모든 공통 필드버스 및 실시간 이더넷 시스템에 대한 유연한 액세스를 제공함으로써 모 든 산업 및 응용 프로그램 분야의 복잡한 요구 사항에 대응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추가 탑재는 매우 간단하다. 힐셔와 지멘스는 박 스/패널 PC 용으로 적합한 소형 M.2 형식의 cifX PC 카드 번들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플러그를 꽂고 나사를 조이기만 하면 장착되는 단순 한 형식이다. 힐셔 관계자는 “사용자는 SIMATIC IPC와 cifX 기술의 결합을 통해 유연 하고 광범위한 통신 솔루션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며 “다양한 프로토콜을 통해 산업과 경제 분야 전반에 걸친 광범위한 통신 요구 사항에 적용 가능한 솔루션의 구현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2023-01-07 -
PI, 독일 부지확장에 1600만 유로 투자
약 6000㎡의 추가 생산을 위한 실험실 및 사무실 공간을 확보,150개 일자리 창출 Physik Instrumente GmbH & Co. KG(이하 PI, www.physikinstrumente. com)는 최근 독일 Breisgau 지역의 Eschbach에 위치한 부지 확장에 약 1600 만 유로를 투자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PI는 다가오는 2024년에 약 6000㎡의 추가 생산, 실험실 및 사무실 공간을 확보할 예정이다. 또 운영 면적을 두 배 이 상 늘리고, 최대 150개의 추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게 됐으며, Eschbach에 있는 제조 시설의 생산 능력을 세 배로 증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Eschbach에 위치한 생산 시설은 고정밀 포지셔닝 작업을 위한 리 니어 축, 로테이션 스테이지, 시스템 솔루션을 제조하는 PI Group의 역량 센터이며, 약 135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이 시스템에는 장비, 드라이브 기술, 제어 장치 및 소프트웨어가 포함되며 자동화 기술, 반도체 제조 및 현 미경 검사에 사용된다. PI는 Industry 4.0 원칙에 의거해 확장과 동시에 더 많은 유연성과 처리량 을 위하여 커스텀 제품 및 솔루션의 다양한 조합으로 시스템을 지원한다. PI 관계자는 “확장 과정에서 소프트웨어의 도움을 받아 자동화된 운송 시 스템이 조립 시 자재의 흐름을 최적화할 것이다. 또 추가 클린룸을 통해 향 후 고객 요구사항을 충족시켜 줄 것이다. PI는 더 많은 직원 고용과 공간 확 보를 통해 Industry 4.0 원칙을 구현하여 Eschbach 생산 시설의 생산성을 세 배로 늘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탄소 배출량 대폭 감소 PI는 새로운 건물의 옥상에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설치하여 재생 가능한 에 너지를 생성하고 있다. 또한 Eschbach에 있는 생산 시설은 환경 친화적인 지역난방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이는 지속 가능한 건축 자재 및 단열재의 사 용과 함께 가장 높은 환경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 성장에 대한 기록적인 투자 PI의 매출액은 지난 2021 회계연도에 약 27% 증가하여 2억4300만 유로를 기록했다. PI그룹의 CEO인 Markus Spanner는 “PI는 향후 몇 년간 두 자릿 수의 성장률을 예상한다”고 말하며 “작년 말까지 PI는 개발 및 생산 능력의 추가 확장에 이미 6000만 유로 이상을 투자했으며, 투자 규모는 계속 증가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23-01-07 -
어드밴텍케이알 정준교 대표, 광운대에 2000만원 발전기금 기탁
정준교 (주)어드밴텍케이알 대표는 지난 12월 19일 어드밴텍케이알 본사에 서 광운대학교 김종헌 총장을 만나 광운대학교 발전기금으로 2000만원을 기 탁했다. 정 대표는 “동문 기업인으로써 모교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 어 무척 기쁘다. 앞으로도 대학 발전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 겠다”고 기소감을 밝혔다. 김종헌 총장은 “어드밴텍케이알의 기부에 감사드리며, 동문 기업과 대학 이 협력할 수 있는 산학연계 프로그램을 적극 활성화 해 나갈 수 있도록 노 력하겠다”라고 감사의 뜻을 전했다. 대만에 본사를 둔 어드밴텍은 올해 40주년을 맞이하는 응용 설계 분야 선두기업이다. 어드밴텍의 한국지사인 (주)어드밴텍케이알은 2022년 창립 25주년을 맞이했으며, ‘Enabling intelligent Planet’이라는 비전에 발맞춰 HW 중심 브랜드에서 솔루션 중심으로의 사업 전환을 진행 중이다. 정 대표는 “대한민국 ICT를 이끌어온 광운대학교 후배들을 위해 발전기 금을 낼 수 있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 인재를 양성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었으면 좋겠고 향후에도 지속적으 로 후원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2023-01-07 -
산업계, 에너지 효율성 개선에 박차
산업비용 절감 및 탄소배출 저감 ABB(www.abb.kr)는 최근 에너지 비용 절감 및 탄소 배 출 저감을 위해 바로 실천할 수 있는 10가지 조치가 수 록된 ‘산업계 에너지 효율화 보고서(Industrial energy efficiency playbook)’를 발표했다. 산업계 에너지 효율화 보고서 : 산업계 에너지 효율화 보 고서에는 기업이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고,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며,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바로 실행할 수 있는 10가지 조치를 수록했다. 신속한 결과와 ROI(투자 수익률)를 제공하고 규모에 맞게 구현할 수 있는 광범위한 검증된 기술 솔루션에 중 점을 둔다. 산업계는 전기, 석탄 등 최대 소비자 : IEA에 따르면 산업은 전기·천연가스·석탄 소비의 최대 소 비처로, 전체 전력 수요의 42%를 차지한다. 이는 34엑사줄(에너지 단위, 1엑사줄=100경 줄) 이 넘는 에너지다. 이번 보고서의 인터뷰에 응한 회사는 ABB, 알파라발, DHL그룹, IEA, 마이크 로소프트, 스위스 연방 기술 연구소인 ETH 취리히 등이다. 기여 회사의 권고사항은 에너지 감 사·진단부터 산업용 기계 규모 효율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현장 서버 데이터를 클라우드 로 이동 시 IT 시스템에서 소비되는 에너지의 90%를 절약할 수 있다. 산업용 선박 전기화, 가 스보일러의 히트 펌프 전환, 잘 관리된 열 교환기 사용을 통해 탈(脫)화석 연료 전환 속도를 높 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고효율 모터로 교체 : 다른 권장사항으로는 가변속 드라이브 설치를 통해 모터 구동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을 최대 30%까지 높여 즉각적인 비용, 배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현재 가동되고 있는 3억대가 넘는 산업용 전기 모터 구동 시스템을 최적화한 고효율 모터로 교체하면 전 세 계 전력 소비량을 최대 10%까지 줄일 수 있다.
2023-01-06 -
LS일렉트릭, 대·중소기업 상생형 스마트공장 모델 제시
LS ELECTRIC(www.ls-electric.com, 이하 LS일렉트릭)이 합리 적인 가격에 제조 공정을 개선하는 동시에 효율적인 설비 관리가 가능한 대·중소기업 상생형 스마트공장 모델을 선보였다. LS일렉트릭은 지난 12월 5일부터 7일까지 중소벤처기업부 주최 로 열린 ‘2022 스마트제조혁신대전’에 참가,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 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관련 솔루션을 소개했다. ‘스마트 제조 혁신의 함성, 함께 성장하는 대한민국’을 슬로건 으로 내건 이번 전시회는 민관 합동으로 함께 이뤄낸 ‘스마트공장 3만개 보급·확산’ 성과를 알리고 디지털 전환 시대의 향후 새로운 스마트 제조 혁신 추진을 위한 공감대 형성을 위해 마련됐다. LS일렉트릭은 ‘스마트공장 파트너’라는 콘셉트로 테크스퀘어 (TECH SQUARE)와 스마트공장(Smart Factory) 등 2개 테마로 전시를 구성했다. 테크스퀘어(Tech Square)는 시장에서의 정보 불균형을 해소 함과 동시에 전문가 멘토링, 최적 파트너사 매칭 등 제조기업에 게 최적화 된 서비스를 통해서 스마트 공장을 제대로 구축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스마트 공장 플랫폼이다. LS일렉트릭은 이를 통 해 지난 3년 간 매년 30억원 이상을 출원해 대중소 상생형 스마 트 공장 구축 지원 활동을 추진한 바 있다. ‘스마트공장’ 솔루션에서는 다품종 소량생산을 주력으로 하는 중소 제조기업에게 유용한 스마트 워크 벤치(Smart Workbench) 를 선보였다. 스마트 워크벤치는 디지털 작업지시서와 작업자 실 수에 따른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부품 체결 솔루션’이다.
2023-01-06 -
“끊임없는 도전과 열정으로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기업 될 것”
산업용 자동화 장비 판매 및 수리, 유지보수의 전문기업 엠 이티(M.E.T www.met.kr)는 우수한 기술력으로 수리업계 를 선도하고 있는 기업이다. 지난 20년간의 노하우로 제품 의 원인 분석 및 다양한 데이터 축적으로 고객의 니즈를 파 악하여 높은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고 있다. 엠이티 관계자는 “우리 회사는 공장이 멈춰 버린 순간 당 황하지 않고 답을 제시해주는 기업이다”라고 설명하며 “노 후된 장비의 점검, 클리닝, 개조 등으로 고장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어 제조업체의 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 효과를 높이고 장비에 대한 스트레스를 낮춰주고 있 다”고 말했다. 엠이티는 산업용 자동화 장비의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고객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한다’라는 신 념을 갖고 고객 만족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자동화 파 트 7만여 개, 전자부품 2만여 종 등 각종 희소 가치를 지닌 부품과 첨단 수리 장비를 보유함과 동시에 우수한 기술력과 사업 능력을 갖춘 회사로 온라인 수출입을 통하여 매출 상 승 및 고객의 니즈에 더욱 주력하고 있다. ‘ROBOTEQ’ 공식판매대리점 & ‘INOVANCE’ 서비스 파트너 Roboteq(www.roboteq.com)는 임베디드 시스템, 전력 전자 및 모터 제어 전문가가 설립한 기업이다. DC 모터 컨 트롤 전문회사로 대량 OEM 및 자동화, 로봇 및 전기 교 통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혁신적인 모션 시스템을 구축하 고 있다. 엠이티는 이러한 산업용 모터의 전문 브랜드인 Roboteq 제품의 공식 판매대리점으로써 시장 확대에 총력 을 기울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중국 내 로컬 자동화 기업 중 가장 큰 회사인 이노반스 (www.inovance.co.kr)의 서비스 파트너로서, 엠이티를 통해 각종 산 업용 자동화 장비들을 만나볼 수 있으며, 대표 상품으로는 드라이브, PLC, HMI 등이 있다. 핵심 기술 차별화 전략 엠이티는 동종업계에서 최대 인프라를 갖추고 있는 기업으로 정평이 나 있다. 엠이티 관계자는 “지난 20여 년간 자동화 설비 유지보수 누적 데이터 기 반의 기술력으로 동종업계 최대 인적 인프라(전자기사의 전자기능장 등 전 문자격 보유 엔지니어 20여 명)를 구축하고 있으며, 500여 종의 지그(JIG) 개발과 하이브리드 서비스 시행으로 경쟁사 대비 체계적 품질시스템을 확 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뿐만 아니라 엠이티는 ‘클·뉴 세일즈(Classic New Sales)’를 기반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빅데이터 기반 고객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클·뉴 세일즈’는 고객의 마음을 읽는 CLASSIC 영업 + 빅데이터를 활 용한 NEW 기술로 ‘A to Z One stop 종합솔루션’을 제공하는 엠이티만의 차별화 전략이다. 이에 대해 엠이티 관계자는 “고객사별 세부 데이터 분 석(제조사, 장비, 증상 등)과 자사 자체 프로그램을 활용한 고장예측시스 템을 구축하여 관리 이력 자료 통계를 통한 데이터 대시보드 제공 및 고객 맞춤형 하이브리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람을 위한 회사, ‘행복한 중기 경영대상’ 특별상 수상 엠이티는 최근 ‘2022 행복한 중기 경영대상’에서 특별상 을 수상해 눈길을 끌고 있다. 이 상은 청년 고용창출 및 행복한 일터 만들기에 기여한 기업을 선정하여 시상하는 상으로, 일자리 창출에 기여 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한 기업에게 그 영예가 돌아간다. 엠이티는 여기에서 특별상을 수상했다. 이번 특별상 수상과 관련해서 엠이티 관계자는 “우리 회 사는 고용창출 및 노사화합 등 중소기업 발전과 인력육 성에 공을 들이고, 근로자들을 위한 일하기 행복한 중소 기업 만들기에 앞장서고 있다. 앞으로도 더욱 최선을 다 하고 발전하는 기업이 될 것이다”라고 다짐했다. 자료제공: 엠이티(www.met.kr)
2023-01-06 -
“모듈식 DIN 인클로저로 혁신적 설계”
Altech DIN 인클로저 시스템은 산업 응용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버 전이 제한적인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모듈식 DIN 인클로저는 시 스템 설계 엔지니어에게 작업할 수 있는 더 많은 옵션을 제공한다. 이번 호에서는 전자 및 제어 부품의 공급업체이자 유통업체인 Altech(www.altechcorp.com)의 모듈식 DIN 인클로저에 대해 서 Q&A 형식으로 알아본다. Q. 애플리케이션이 다양하고 복잡한 경우 DIN 인클로저에서 무엇이 중요한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산업 기계 및 장비 또는 전자 제어를 위한 다양한 연결 유형을 처리할 수 있는 모듈식 인클로저가 이상 적이다. 일부 애플리케이션에는 고정 push-in 터미널이 필요하 지만, 다른 애플리케이션에는 다양한 유형의 플러그형 push-in 터미널이 더 적합할 수 있다. 특히 혁신적인 디자인에서는 어댑터 가 핵심이다. 사용자에게 높은 신호 밀도를 제공하는 콤팩트한 터 미널을 찾아야 한다. Q. 그런 인클로저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모듈식 DIN 인클로저는 유연하고 빠른 스냅 결합 설계를 통해 쉽 게 설치할 수 있다. 인클로저 외부의 전선을 인클로저 내부의 PC 보드에 연결하기 위해 통합 단자가 제공된다. 이러한 인클로저는 신속한 현장 액세스를 위해 통합 테스트 지점을 제공해야 한다. ‘Altech KV 4600’ DIN 인클로저가 설계된 방식과 같이 상단 레일 에 수직인 회로 기판의 장착 위치를 통해 최대 2개의 회로 기판을 통합할 수 있다. 옵션인 스냅 인(snap-in) 레일 버스 장착 시스템 (In-Rail-Bus)은 전원, 신호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 통신이 가능하다. 도금된 이중 스프링 접점이 있는 접점 스프링 블록은 높은 접점 신뢰성을 제공한다. Q. 모듈식 DIN 인클로저를 사용하면 진단이 용이하도록 전면 단자의 사용이 가능한가? 대부분의 DIN 인클로저가 측면 단자대를 제공하지만, 올바른 모 듈식 시스템은 전면 액세스를 허용한다. 넓은 전면 영역은 모든 기능과 터미널의 유연한 배열을 할 수 있다. 레이아웃이 RJ45, D-Sub, USB, 광도체, 라디오 및 NFC를 포함한 일반적인 통신 인 터페이스의 쉬운 통합을 제공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Q. 이러한 설계는 PCB 표면의 가용성을 높이는가? 전적으로 PCB 표면은 단자에 의해 막히지 않기 때문에 레이아웃 에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개방형 레이아웃 구성은 보드 공간을 증가시켜 디자인이 다른 인클로저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없는 추 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측면 환기 슬롯이 포함되어 있 어 자유 대류를 통해 최적의 열 분산이 가능하므로 높은 열 응력 을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할 수 있다. 보드 디자인에 더 많은 기능을 담을 수 있다는 것은 비용 측면에서도 효율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Q. 모듈식 DIN 인클로저는 어떤 측면에서 사용 편의성을 제공 하는가? 고정 통합 및 플러그 가능 연결 기술을 제공하는 솔루션을 고려해 봐야 한다. 예를 들어 플러그형 단자대는 미리 배선된 리드를 사 용할 수 있도록 일렬로 배열할 수 있다. 이 접근 방식은 시간을 절 약하고 설치, 유지 관리 및 수리 작업 중 연결 처리를 개선한다. 플러그형 push in 단자 기술을 통해 도구 없이 도체를 설치하면 배선을 더 빠르고 쉽고 안정적으로 만드는 모듈식 단자 기술이 제 공된다. Altech의 ‘KV 4600’과 같은 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개별 적으로 터미널 블록을 편리하게 잠금 해제할 수 있도록 통합 플러 그 제거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이것은 제한된 공간 조건에서 높 은 연결 밀도가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Q. 이러한 인클로저는 높은 충격 및 진동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가? 올바른 모듈식 DIN 인클로저는 높은 기계적 안정성과 진동 저항을 제공한다. 여기에는 도체의 내진동 연결도 포함된다. 충격 및 진동 을 포함한 환경을 고려할 때 일부 구성 요소가 아닌 각 구성 요소 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종종 설계에는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한 진 동 방지 마운트가 포함될 수 있으며 고정 또는 플러그형 상호 연결 에서 동일한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잊어버릴 수 있다. Q. 산업용 IoT 애플리케이션용 버전은 있는가? 모듈식 DIN 인클로저를 사용하면 공통 버스 개념을 하단 어셈블 리에 통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 전자 인클로저(KV 4600 시 리즈의 변형)는 66mm 깊이와 12.5mm에 불과한 초소형 모듈 폭 을 제공한다. I/O 인클로저는 프로세스 엔지니어링, 개별 제조 및 공간이 제한된 기타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최신 제어 시스템 및 산 업용 IoT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설계되었다. 신호, 데이터 및 전원 전송을 위한 편리한 전면 연결 기술이 특징이다. 장치 시스템은 버스 시스템을 통해 분산적으로 연결되고 관리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위해 I/O 전자 인클로저는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개별 모듈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 요소를 제공한다. Q.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하도록 마킹이 가능한가? 이러한 모듈식 DIN 인클로저는 넓은 표면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 용자 요구 사항에 따라 개별 및 내마모성 레이저 마킹 및 패드 또 는 디지털 인쇄 프로세스를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배선 오류를 제거하기 위해 개별 단자대를 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 도 있다. Q. 다른 사용자 정의가 가능한가? 그렇다. 모듈식 DIN 인클로저는 다양한 사용자 정의 가능성을 제 공한다. 제조업체는 모든 종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위한 다양한 유형의 커넥터 또는 포트에 대한 맞춤형 개구부를 밀링하거나 성 형할 수 있다. 이들은 인클로저의 전면 또는 측면에 통합될 수 있 다. 상태 표시를 위한 광도체, 접지 스프링, 조작 보호를 위한 기 울일 수 있는 전면 덮개와 같은 다른 옵션도 사용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다양한 표준 설계를 제공하는 공급업체를 찾아 애플리케이션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맞춤화 할 수 있다. Q. 모듈식 DIN 인클로저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할 수 있는가? 모듈식 DIN 인클로저의 유연성은 시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장 광범위한 기능을 생성한다. DIN 인클로저 애플리케이션은 말 그 대로 무한하며 릴레이, 감지 및 모니터링 장치, 변환기 및 인쇄 회 로 기판을 포함한 모든 방식의 전기 기계 장치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시스템의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나면 필요에 맞는 올바른 모 듈식 DIN 인클로저를 쉽게 구성할 수 있다 자료제공: Altech(www.altechcorp.com)
2023-01-05 -
성일기공 ‘현재 세계일류상품’에 선정 “국내 부품산업의 위상 더욱 높일 것”
국내 최초로 정밀기기용 축 커플링을 국산화 하는데 성공한 기업 성일기공(www.sungilfa.co.kr)이 지난 11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고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운영하는 인증제도인 ‘현재 세계일류상품’에 선정돼 눈길을 끌고 있다. ‘세계일류상품’은 국산 제품의 글로벌 시장선도와 수출활성화를 위해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고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운영하는 인증 제도다. ‘현재 세계일류상품’과 향후 7년 내 일류상품 진입 가능성이 높은 ‘차세대 세계일류상품’ 등으로 구분해 인증과 시상이 이뤄진다. 이 중 ‘현재 세계일류상품’ 은 세계시장 점유율이 5위 이내이고 5% 이상인 상품을 기준으로 선정한다. 성일기공은 ‘2022년도 세계일류상품 인증서 수여식’에서 ‘현재 세계일류상품’으로 선정되는 쾌거를 이루었으며, 이로 인해 향후에도 세계 시장에서 대한민국 부품산업의 위상을 높이는데 일조해 나갈 것을 다짐하고 있다. 이와 관련 본지는 성일기공의 김인호 전무이사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Q. 성일기공은 어떤 회사인가? 성일기공은 1991년 설립됐으며 정밀기기용 축 커플링을 국내 최초로 국산화 한 기업이다. 수입에 의존하던 부품을 국산으로 빠르게 대체해 나갔으며 이후 국내 반도체, 디스플레이, IT 기기 및 2차 전지 산업의 성장과 더불어 시장 점유율을 높여 나갔다. 뿐만 아니라 볼스크류 용 베어링 서포트 유니트, 타이밍 풀리, A.P. Lock 등으로 사업영역을 넓혀 왔다. 성일기공의 비전은 지속적인 성장기반 확보를 통해 동력전달 관련 F.A. 부품 전문 일류 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지난 31년간 정진해오고 있다. Q. 이번에 ‘현재 세계일류상품’ 인증서를 받았는데, 이것의 의의와 소감은? 산업통상자원부와 코트라가 함께 선정하는 ‘현재 세계일류상품’은 세계시장 점유율 5% 이상, 점유순위 5위 이내의 요건을 충족한 상품에만 주어진다. 즉 성일기공은 이미 세계 시장 점유율 5% 및 5위를 달성한 기업임을 인정받았다는 것에 큰 의미를 둘 수 있다. 대한민국의 정밀 기계 부품 산업의 위상은 경제 및 산업 규모에 비해 그리 높은 편은 아니다. IT, 자동차 관련 소비재, 중간재 그리고 그런 제품을 만들어 내는 장비 산업의 규모와 위상은 세계 정상급이지만, 제조 설비를 구성하는 기계 부품 산업을 보면, 인지도와 기술면에서는 독일 일본 미국 등에 뒤쳐지고, 가격 경쟁력은 대만 중국 등에 밀리는 형국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환경에서도 대한민국의 제조업체로서 세계 5위 및 5% 시장 점유율을 달성했다는 것은 굉장히 자랑스러운 쾌거가 아닐 수 없다. 김성묵 대표이사님께서 창업자로서 창업정신을 잃어버리지 않고 사업의 기반이 될 수 있는 제품과 사업 기반을 갖추어 주셨고, 이후에 많은 임직원들이 함께 노력하여 세계적 수준의 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Q. 주력상품의 남다른 기술력과 차별성이 있다면? 성일기공 커플링의 가장 큰 장점은 제품의 다양성이다. 제품이 다양하다는 것은 소비자의 변화하는 니즈에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조 설비 및 애플리케이션이 다양해지면서 커플링에게 요구되어지는 구동조건 및 환경이 다변화되고 있다. 성일기공은 이를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표준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소비자와 함께 제품을 개발하거나 주문 제작 제품을 공급하기도 한다. 두 번째 장점은 역시 일관된 품질이다. 우리가 보유하고 있는 커플링은 표준품만 해도 모델/외형/내경 조합에 따라 수 만 가지에 이른다. 이렇게 다양한 제품들을 일관된 품질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소재/가공/조립 등 전 공정에 걸쳐 특별한 노하우가 있어야 하는데 오랜 업력을 통해 안정적인 품질을 경쟁력 있게 확보하고 있다고 자부한다. Q. 수출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수출증대를 위해 특별히 신경 쓰고 있는 부분은? 현재 약 60여 개 국에 수출하고 있으며, 순위를 따지자면 중국 일본 독일 순이다. 중국 향 수출이 가장 큰 이유는 직영법인이 운영되고 있어 적극적인 영업활동을 전개해 왔기 때문이다. 중국은 워낙 거대한 시장이기 때문에 수요가 많은 품목들을 중심으로 꾸준히 현지화에 투자를 해왔고 그 결과 중국 내에서도 ‘직교로봇’ 시장에서는 점유율 1위를 달성했다. 중국 법인의 생산 능력 확대는 현지 시장 점유율 증가로 이어졌지만, 한국의 중국 향 수출 감소라는 문제로 이어졌고 새로운 시장의 발굴이라는 과제를 남기게 됐다. 이에 중국을 대체할 새로운 시장으로 일본과 미국 그리고 유럽을 보고 있다. 아직 정밀기계의 흐름은 기술 선진국에 의해 주도된다. 따라서 일본 미국 등에서 제품의 품질과 경쟁력을 인정받고 시장을 넓히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영업이며 홍보활동이라고 믿고 있다. 일본 유럽은 오랜 기간 동안 수출을 해왔고, 현지 고객사들과의 파트너십도 어느 정도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좀 더 확대할 계획을 가지고 있고, 미국의 경우에는 전략적으로 자원을 투입해 빠른 시일 내에 영업 기반을 만들 생각이다. Q. 향후 추구해 나갈 사업방향과 계획이 있다면? 지난 2020년 월간 과 인터뷰를 했을 때 세계 Top 4기업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던 적이 있다. 이번 ‘현재 세계일류상품’ 선정을 통해 그 목표는 달성했다고 생각한다. 이제는 정밀기기용 중소형 커플링 분야에서 만큼은 Top 4가 아니라 최고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생각이다. 커플링 사업에 대한 성일기공의 지향점은 커플링을 사용하는 소비자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기업이 되는 것이다. 제조업체의 실력은 결국 얼마나 많은 고객의 문제에 대해 솔루션을 제공해 보았느냐에서 결정된다고 믿고 있으며, 그 과정을 통해 고객과의 신뢰가 깊어지고 브랜드 가치가 높아진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고객의 본질적인 문제와 요구 사항에 집중하고 그것을 해결해 나감으로써 성일이란 브랜드가 고객의 답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Q. 주력상품에 대한 간략한 설명은? 성일기공의 주력상품은 고성능 디스크 커플링(SAD Series), 고정밀 디스크 커플링 (SCD Series), 방진고무 커플링(SHR Series)이다. SAD시리즈는 기존 SD시리즈에 비해 토크 전달력과 강성이 높은 디스크 커플링이다. SCD시리즈의 경우에는 특수 지그를 통해 조립해 양쪽 축경 간에 동심이 완벽에 가까운 디스크 커플링이다. SHR시리즈는 탁월한 방진 특성이 있고 내구성이 뛰어나 공진/진동 이슈가 있는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하며 모터의 안정화 시간을 단축시켜 장비의 효율성을 높이는 기능도 있다. Q.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이 있다면? 국내/외를 막론하고 모터의 회전동력을 상대 축에 연결해야 하는 모든 설비에 우리 제품이 적용되기 때문에 고객군은 매우 다양하다. 국내의 경우에는 특히 반도체, 디스플레이, 카메라 모듈, IT 기기, 2차전지 등의 제조설비 제작사와 공작기계 제조사가 주력 고객이다. 최근에는 의료기기 분야에서도 수요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고객이 워낙 다양하고 불특정하기 때문에 고객이 필요한 정보를 최대한 손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카탈로그 및 기술 자료를 수시로 업데이트 하고 도면을 고객이 쉽게 다운로드 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기도 했다. 최근에는 제품의 기능, 사용법과 관련된 영상자료를 제작해 올리기도 한다. 또한 고객의 요청이 있을 경우 오프라인 기술세미나를 제공하기도 한다. Q. 올해 사업을 자체적으로 어떻게 평가하시는지, 그리고 23년에 특별한 계획이 있는지? 올 2022년은 작년에 세워 둔 목표에는 미달할 것으로 예상되나 우려했던 것에 비해서는 선방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하반기로 넘어오면서 2차 전지를 제외한 전 분야의 침체가 시작됐지만 신규 고객 발굴 및 신사업 안정화를 통해 어느 정도는 만회를 했다고 자평한다. 다가오는 2023년에는 다시 해외 마케팅 및 고객 발굴에 시간과 노력을 투자할 계획이다. Q. 파트너사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한국의 고객 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드린다는 말을 하고 싶다. 세계일류상품이라는 인증은 국내 고객들의 절대적인 지지와 신뢰가 있었기에 취득할 수 있었다고 확신한다. 앞으로 더 정진하여 세계 시장에서 대한민국의 부품산업의 위상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 앞으로도 저희 회사와 제품을 아껴주시길 부탁드린다.
2022-12-03 -
공장이 멈춰버린 순간,‘엠이티’를 만났다
비용절감, 생산성 향상, 시간절약, 스트레스 ZERO 산업용 자동화 장비 판매 및 수리, 유지보수의 전문기업 엠이티(M.E.T www.met.kr)는 우수한 기술력으로 수리업계를 선도하고 있다. 지난 20년간의 노하우로 제품의 원인 분석 및 다양한 데이터 축적으로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여 높은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고 있는 업체이다. 엠이티 관계자는 “우리 회사는 공장이 멈춰 버린 순간 당황하지 않고 답을 제시해주는 기업이다”라고 설명하며 “노후된 장비의 점검, 클리닝, 개조 등으로 고장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어 제조업체의 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 효과를 높이고 장비에 대한 스트레스를 낮춰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엠이티는 사명처럼 ‘Man(사람)’과 ‘Enthusiasm(열정)’ 그리고 ‘Technology(기술)’의 세 가지를 가장 염두에 두고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엠이티 관계자는 “엠이티의 이념을 실천하는 주체는 바로 ‘사람(Man)이다. 한 사람 한 사람이 최상을 향해 정진하고 가진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고 설명하며 “멈추지 않는 도전으로 국가경쟁력 강화에 일조하며 산업현장 장비운영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제공하는 기업으로서 가장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유지보수 서비스 공급에 모든 정성을 기울이기 위해 ‘Enthusiasm(열정)’을 앞세우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끊임없는 혁신을 통해 보다 앞선 첨단 기술과 엔지니어링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Technology(기술)’의 차별화에 전념을 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수리 및 M.R.O 서비스와 판매 엠이티는 파트별, 제조사별로 나뉘어 수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구동부, 제어부, 유지보수부로 세분화돼 있는 것이다. 체계적인 ERP시스템 구축으로 고객에게 정확한 진단과 대응을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한국공식서비스센터는 KEB, PANASONIC, HIGEN MOTOR, PFEIFFER VACUUM 등이 있다. 또 엠이티는 M.R.O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자동화 파트 7만여 개, 전자부품 2만여 종을 보유하여 신속한 수리와 구매가 가능하다. 신제품 설비의 도입, 제품의 스페어 확보, 설비의 유지보수 등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고장 예측 시스템 구축으로 정기구독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엠이티는 국내 판매 뿐 아니라 해외 판매 및 수출, 그리고 해외구매대행까지 담당하고 있다. 엠이티 관계자는 “해외조달 네트워크 및 해외오픈마켓 사업을 구축했으며, 단종품에 대한 해외 수입 및 수급이 가능하고 고객과 일대일 대응을 통해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로 인해 ‘수출유망중소기업’으로 인증을 받았으며, 한국공식판매대리점으로는 KEB, ROBOTEQ, HIGEN MOTOR, SANYO DENKI, B&R, BROTHER 등이 있다. 데이터 기반 기술력 엠이티는 핵심 기술의 차별화를 선두에 내세워 사업을 구축해 나가고 있다. 그 중 단연으로 꼽는 것은 ‘데이터 기반의 기술력’이라고 할 수 있다. 엠이티 관계자는 “20여 년간 자동화 설비 유지보수 누적 데이터 기반의 기술력으로 동종업계 최대 인적 인프라(전문자격 보유 엔지니어 약 30명)를 구축하고 있다”고 설명하며 “500여 종의 지그(JIG)의 개발과 하이브리드 서비스의 시행으로 경쟁사 대비 체계적 품질시스템을 확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뿐만 아니라 엠이티는 시뮬레이션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고장품을 기계에서 탈거하지 않아도 모든 제조사 제품의 고장 진단이 가능한 서보드라이버 검사 장치를 보유하고 있으며, 다수의 테스트 지그 보유 및 정확한 부품별 고장 증상 확인이 가능한 디지털 회로 검사 장비(VI-TESTER)를 보유하고 있다. 특허품 개발 한편 엠이티는 스마트 물류의 혁명 ‘스마로져’ 및 ‘열화상을 이용한 회로기판의 고장예지 시스템’과 ‘수리 영상 공유 시스템’ 개발해 특허를 받았다. ‘스마로져’ 는 다품종 다량의 물품을 취급하는 중고 마켓에 최적화된 시스템 개발로, 산업장비의 체적과 무게관리 등 품목에 제한 없이 자동 프로그램 등록으로 자동화파트의 기술적 품질 관리가 가능한 기술이다. ‘열화상을 이용한 회로기판의 고장예지 시스템’ 은 카메라와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확인하여 발열이 발생되는 전자부품의 예상 수명을 산출하여 표시하고, 이를 통해 고장을 미리 대비하고 예상 수명을 산출해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수리 영상 공유 시스템’은 자동화 설비 등에 대한 수리 영상을 정확하면서도 신속하게 검색 및 공유할 수 있으며, 수리 방식 또는 도구 등에 대한 공유를 쉽게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자료 제공 : 엠이티(www.met.kr)
2022-12-03 -
Moxa, 차세대 산업용 네트워킹 출시
산업용 통신 및 네트워크 기업 Moxa(www.moxa.com)는 다양한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서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하는 차세대 네트워킹 포트폴리오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새로운 제품군은 기업들이 운용 효율성과 탄력성을 개선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 산업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Moxa의 미래지향적 보안 네트워킹 솔루션은 지속 가능한 네트워크 인프라를 위한 견고한 기반을 제공한다. 고객들은 Moxa의 IEC 62443-4-2 인증 EDS-4000/G4000 시리즈 DIN-레일 스위치와 RKS-G4028 시리즈 랙마운트 스위치를 통해 엣지에서 코어까지 중요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강력한 산업용 등급의 네트워크 보안을 구현할 수 있다. 증가하는 10GbE와 같은 높은 대역폭에 대한 요구뿐만 아니라, 열악한 환경 조건의 애플리케이션은 심한 충격이나 진동과 같이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요인 또한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Moxa의 모듈식 DIN-레일 스위치인 ‘MDS-G4000-4XGS’ 시리즈는 10GbE 포트를 통해 실시간 감시 피드 및 기타 대용량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 여러 산업 인증과 내구성이 뛰어난 하우징을 갖추고 있어 광산 현장이나 ITS 및 도로변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까다로운 환경에도 매우 적합하다. 이와 함께 Moxa는 고객들이 진화하는 산업의 모든 기회요소를 활용할 수 있도록 미래의 확장성을 위한 강력한 네트워크 기반을 구현할 수 있는 툴을 지원하고 있다. 모듈식 RKS-G4028 시리즈 및 MDS-G4000-4XGS 시리즈를 통해 고객들은 까다로운 환경에서 확장 가능한 데이터 통합을 지원할 수 있는 유연한 네트워크를 설계할 수 있다. Moxa의 네트워킹제품매니저인 게리 창(Gary Chang)은 “디지털 미래를 위한 성공의 열쇠는 원활한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 것에 있으며, 이에 따라 산업용 네트워크도 진화하고 있다”고 설명하며 “Moxa는 비즈니스를 혁신하고, 미래지향적 운영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산업용 네트워크 솔루션 개발에 전념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2-12-01 -
‘이플랜 스마트 마운팅’ SW 출시
더욱 스마트한 제어 캐비닛 제조 솔루션 공급업체인 이플랜(EPLAN, www.EPLAN.co.kr)은 새로운 ‘이플랜 스마트 마운팅(EPLAN Smart Mounting)’ 소프트웨어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 소프트웨어는 제어 캐비닛 및 마운팅 패널의 모든 구성요소를 조립하고, 장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사용이 편리한 방식으로 구현된 이 소프트웨어는 3D 시각화 기능을 통해 기술자들이 구성요소를 배치해야 하는 위치를 즉시 식별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플랜 스마트 마운팅은 생산 팀의 직원들이 수행해야 하는 모든 작업 단계에 대한 완벽한 목록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DIN 레일 및 케이블 덕트 장착은 물론, 보조 스위치 및 타이밍 릴레이를 비롯한 전기공학 구성요소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를 지원한다. 이 소프트웨어는 중앙 웹서버의 브라우저 기반 애플리케이션으로 설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태블릿 컴퓨터를 통해 작업 현장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플랜 스마트 와이어링(EPLAN Smart Wiring)’과 결합하면, 배선에 대한 위치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 리탈(Rittal)의 와이어 터미널 WT(Wire Terminal WT)와 같은 일반적인 완전 자동 와이어 조립 장비와도 원활하게 호환이 가능하다.
2022-12-01 -
힐셔, 새로운 CI 론칭
산업용 통신 솔루션 전문기업 힐셔(www.hilscher.com)는 최근 ‘힐셔, 새로운 CI 론칭 및 2023년 신기술 발표’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힐셔는 이노베이션과 커넥티비티를 의미하는 새로운 CI를 공개했다. 새로운 CI를 통해 35년 이상 신뢰할 수 있고 혁신적인 제품을 만들어 산업 연결 발전에 기여해 온 힐셔는 업계의 리더로 자리매김할 의지를 표했다. 이 날 ‘마틴 보크마’ 아태지역 세일즈 매니저는 힐셔의 혁신적인 IO-Link 테크놀로지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힐셔는 다양한 IO -Link 기술을 통해 기존의 IO 레벨과 복잡한 필드 디바이스에만 가능한 커뮤니케이션과 원격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간단한 표준 센서에 도달할 수 없는 기존 오토메이션 피라미드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힐셔는 IO-Link 와 원격 I/O를 위한 여러 기술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는 netX를 비롯해 최적화된 기술 플랫폼, 지능형 4채널 IO-Link 송수신기 등이 힐셔가 제공하는 대표적인 기능이다. 또한 차세대 기술인 무선 IO-Link 기술을 통해 자동화 로봇의 케이블 연결을 줄여주며 물리적 액세스가 제한된 센서와의 안정적인 데이터 교환을 제공한다. 이를 가능케 하는 것이 새로운 netFIELD 디바이스 IO-Link 무선 마스터다. 이는 IEC 61131-9에 따른 기존 IO-Link 표준을 기반으로 기존 유선 IO-Link 마스터보다 2배 많은 총 16개의 센서와 액츄에이터를 연결할 수 있다.
2022-12-01